[건강] 만권책 읽지않으려면 만리길 걸으라 > 건강/행복 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SLDI

건강/행복 이야기
Home > 자료실 > 건강/행복 이야기
건강/행복 이야기

[건강] 만권책 읽지않으려면 만리길 걸으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SLD 작성일20-02-29 09:02 조회12,143회 댓글2건

본문

행복하게 사는 방법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이 있다.

그것을 추리고 추리면 마지막에 남는 것들이 몇개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규칙적인 운동과 긍정적인 태도이다.

규칙적인 운동 중의 백미는 역시 걷는 것이다. 이제 걷는 일을 예찬하는 일은 새삼스럽지 않으나, 그것을 실천하는 일은 매일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다.

그만큼 습관하여 일상으로 가져오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 당장 떨치고 일어나 동네 한 바퀴라도 걸어보자. 작심삼일이 되어도 좋다. 다시 또 작심삼일을 하다보면 일주일에 3~4일은 걸을 수 있을 것이다.


<한겨레신문 휴심정>

만권책 읽지않으려면 만리길 걸으라


원철 스님 2020. 02. 28
               


행만리로(行萬里路)-만리길을 걸어라

 


11an-.jpg » 서울 서대문구 안산 자락길


11ansan-.jpg


                                         겨울비라고 부를 수도 없고 봄비라고도 할 수 없는 비가 밤새 내렸다. 아침 해가 뜰 시간이 한참 지났는데도 주변은 여전히 흐릿하다. 짙은 구름이 가득한 날씨 탓이리라. 뿌연 안개까지 옅게 더해진 북한산 자락길로 발걸음을 옮겼다. 진입부의 나무데크로 만든 길이 지그재그로 거듭 중첩된 모양이 보은 속리산 입구의 말티재를 연상케한다.

 

이마에 땀이 맺힐 무렵 걸음을 멈추고 산아래를 내려다 보았다. 운무 속에서 아파트 단지만 실루엣처럼 윤곽이 드러나고 단독주택은 납작 엎드린 채 보일 듯 말 듯 묻혀있다. 홍제천과 내부순환도로가 나란히 달리는가 싶더니 이내 갈라지면서 각자 자기 길로 내달린다. 풍수이론에서 왜 길을 물로 설명하는지 비로소 실감하게 된다. 고가도로 위로 자동차 행렬이 리에 꼬리를 물며 물처럼 흘러가기 때문일 것이다. 한 때 하천을 복개하여 길을 만들고서 교통란을 해결하던 시절도 있었다. 아스팔트를 기준으로 아래로는 물이 달리고 위로는 차가 달렸으니 물길이 곧 차길이었던 것이다. 이제 복개된 차길을 걷어내고 다시 물길을 드러내는 시대로 바뀌었다. 그럼에도 흐름과 소통이라는 두 길의 기능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

한 구비를 돌아드니 육이오 때 계급장도 없이 참전하여 전사한 용사의 이름만 적힌 소박한 비석이 서있다. 앞에 놓아 둔 프라스틱으로 만든 조화가 검은 비석의 외로움을 달래준다. 1986년 세웠으니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다. 세운 이들은 기억으로만 충분하지 않다고 여긴 모양이다. 기억해주는 이가 한 명이라도 있다면 그 용사는 가슴 속에 살아있는 것이다. 앞으로 자락길 주변에도 이렇게 산 자와 죽은 자의 스토리가 하루하루 쌓여갈 터이다

     

거의 흙을 밟지 않아도 되는 나무데크 길만 4km가 넘는다. 만들 때도 자연훼손을 최소화하고 이용 시에도 지면손상을 최소화한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데크 사이사이에 이미 자기자리를 잡고 있는 별로 크지도 않는 그저 그런 나무까지 보존하려는 공생(共生)을 위한 귀찮음도 저어하지 않았다. 산 정상 방향으로 군데군데 하얀 화강암 표면에 푸른 이끼가 자란다, 이끼는 청정을 상징하는 식물군으로 분류된다. 데크 길을 사이에 두고 아파트와 자연의 공존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나 할까. 주민과 길손의 상생(相生)을 위해 군데군데 나무로 차단벽을 설치했다. 담장너머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움을 추구한다는 명분을 내건 이른 바 숲세권아파트를 짓는 고공크레인은 산보다 더 높이 하늘을 향해 서있다



11jeju1-.jpg » 제주 올레길


11gusu1-.jpg » 일본 규슈 올레길


11santi-.jpg »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


걷는 길의 원조는 성지순례길이다. 유명한 산티아고 길의 최종 목적지는 성 야곱의 무덤이 있는 콤포스텔라 성당이다. 출발에서 도착까지 한달 가량이 소요되는 직선길이다. 일본 시코쿠의 오헨로 길88개 사찰로 이어진 순환길이다. 우리나라 원효스님만큼 유명한 구카이(空海 774~835 일본 진언종 고야산 개산조)대사의 수행흔적을 따라서 걷다보면 섬을 한 바퀴 돌게 된다. 이 역시 한달 남짓 시간을 요구하는 긴 길이다. 두 길 모두 천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동서양 성지순례 길의 원조인 셈이다. 제주도 출신인 서명숙 선생은 산티아고 길에서 적지않는 영감(靈感)을 얻었다. 귀국 후 고향에 올레길을 만들었다. 이제 큐슈 올레길이란 브랜드를 일본에 수출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길은 계속 진화 중이다.     

 

길 이름을 짓는 것도 쉽지 않다. 어느 나라 어떤 지역이건 나름의 좋은 이름은 이미 선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 올레길도 있고 지리산 둘레길도 있고 해인사 소릿길도 있다. 경북 청도에는 몰래길이 있다. 올레길 이름을 그대로 빌리면서도 이응()자을 미음()자로 살짝 바꾸었다. 방해받지 않고 혼자 혹은 둘이 몰래 걷는 호젓한 길을 컨셉으로 잡았다고 한다. 유명 연애인 전유성 선생이 작명했다.



11mol-.jpg » 경북 청도 몰래길


11mol1-.jpg


 지금 내가 걷고 있는 이 길은 골목길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순환길도 아니다. 산자락을 걷는 길이다. 그래서 자락길이 되었을 것이다. 언제부턴가 빨리빨리 산 정상을 향한 가파른 직선길이 아니라 쉬엄쉬엄 산언저리를 도는 둘레길로 걷는 문화가 바뀌었다. ‘자락길은 거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경사도 10%이하의 기울기를 유지하는 까닭에 남녀노소 심지어 휠체어까지 통행이 가능한 무장애 자락길이 되었다. 가까이 있는 길이며 언제든지 갈 수 있는 동네길인 것이다. 게다가 안전한 바닥처리로 인하여 땅을 의식하지 않고 편안하게 걸으면서 하늘과 자연을 마음놓고 볼 수 있는 여유가 덤으로 주어진다

 

그렇다고 혼자 잘난 길은 아니다. 일방적 소통이 아니라 주변길과 연계성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위로는 북한산 둘레길(옛성길)과 군데군데 이어진다. 아래로는 여기저기 동네로 내려가는 길과 연결된다. 게다가 옛길을 살려 300m정도는 흙길을 밟도록 세심하게 배려했다. 데크를 밟을 때와는 사뭇 다른 촉감을 준다. 제법 연륜이 쌓인 개나리동산을 감상하며 걸으라고 보존한 길이다. 잔뜩 물머금은 개나리 가지를 보면서 봄날의 화사함을 미리 만끽했다.

 

옛사람들은 길을 걸으며 만권의 책을 읽던지 만리길을 걸어라(讀萬卷書 行萬里路)’고 스스로를 다그쳤다. 만리행은 만권의 독서를 하는 것 만큼 견문을 넓혀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오늘 십리행을 했으니 책 몇 권을 읽은 것인가?  

댓글목록

SLD행복연구소 & 행복사다리
대표자 : 정영진 | 사업자등록번호 : 491-21-00894 / 144-82-67646 | Tel : 02-6084-1752
fax : 02-6084-1751 | 주소 :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207(상완빌딩) 503호 | 입금계좌 : 국민은행 490701-01-184905
E-mail : afvision@naver.com
Copyright@에스엘디행복연구소. 2020.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